본문 바로가기
미국경제관련

2025년 1월17일 IMF(국제통화기금) 발표, 세계경제전망 -1

by smile-ro 2025. 1. 18.

IMF

 

국제통화기금(IMF)이 발표한 2025년 세계경제전망
상세 분석
▶전망을 형성하는 요인분석

▶ 세계경제전망

 

세계 경제 성장 : 분열적이고 불확실한 전망

 2025년과 2026년 세계 경제 성장률은 각각 **3.3%**로 전망되며, 이는 2000~2019년 평균 성장률인 3.7%를 밑도는 수준입니다.
 2025년 전망치는 2024년 10월 세계경제전망(WEO) 대비 대체로 변동이 없으며, 이는 미국의 성장률 상향 조정이 다른 주요 경제국들의 하향 조정을 상쇄했기 때문입니다.
 전 세계 소비자 물가 상승률(헤드라인 인플레이션)은 2025년 4.2%, 2026년 **3.5%**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며, 선진국에서 신흥시장 및 개발도상국보다 더 빨리 목표 수준으로 수렴할 전망입니다.

 

1. 위험 요인: 중기적으로 하방 압력, 단기적으로 분열된 위험

  • 상방 위험: 단기적으로는 미국에서 이미 강한 성장세가 더욱 강화될 가능성.
  • 하방 위험: 다른 국가들은 높은 정책 불확실성 속에서 성장 둔화 위험에 직면.
    • 특히 정책으로 인한 디스인플레이션 과정의 혼란이 통화정책 완화로의 전환을 방해할 수 있으며, 이는 재정 지속 가능성과 금융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2. 정책적 과제

이러한 위험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노력이 필요합니다:

  1. 인플레이션실물경제 활동 간의 균형을 맞추는 세심한 정책 접근.
  2. 정책 여력 확보재정적 완충 강화.
  3. 중기 성장 전망 제고를 위한 구조 개혁 강화.
  4. 다자간 규칙과 협력 강화를 통해 국제적 조화를 도모.

▷ 이를 통해 성장과 안정성을 동시에 추구하며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을 이루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 전망을 형성하는 요인

전 세계 경제는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국가별로 그 수준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2024년 3분기 세계 GDP 성장률은 2024년 10월 세계경제전망(WEO)에서 예상했던 수준보다 0.1%p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일부 아시아 및 유럽 경제에서의 실망스러운 데이터 발표 때문입니다.

1. 주요 지역별 경제 동향

  • 중국: 연간 성장률이 **4.7%**로 예상치를 밑돌았습니다.
    • 예상보다 빠른 순수출 증가가 있었으나, 소비 둔화와 부동산 시장 안정화 지연, 낮은 소비자 신뢰가 성장 둔화를 초래했습니다.
  • 인도: 산업 활동의 예상보다 급격한 둔화로 인해 성장이 기대치를 크게 밑돌았습니다.
  • 유로존: 성장세가 여전히 미미하며, 특히 독일의 성과가 다른 유로존 국가들보다 저조했습니다.
    • 제조업 및 상품 수출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실질 소득 회복에 힘입은 소비 증가가 일부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습니다.
  • 일본: 일시적인 공급 차질로 인해 생산량이 소폭 감소했습니다.
  • 미국: 강력한 소비에 힘입어 연간 2.7% 성장을 기록하며 지속적인 탄력을 유지했습니다.

2. 글로벌 물가 동향

**디스인플레이션(물가 안정)**은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이러한 진전이 정체되고 높은 인플레이션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 최근 몇 달간 **핵심 물가상승률(계열 중위값)**은 약 **2%**를 약간 웃도는 수준을 유지.
  • 명목 임금 상승률은 완화 조짐을 보이며 노동 시장 정상화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 재화의 핵심 물가상승률은 추세 이하 또는 안정화된 반면, 서비스 물가상승률은 여전히 COVID-19 이전 평균을 상회.
    • 특히 미국과 유로존에서 두드러짐.
  • 유럽과 라틴아메리카 일부 신흥시장 및 개발도상국에서는 고유한 요인으로 인해 높은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부분적 문제도 존재.

▷ 보고서는 이러한 글로벌 경제와 물가의 분열된 흐름이 각국의 정책적 대응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글로벌경제전망

▶ 세계경제전망

국제통화기금 | 2025년 1월

1. 통화정책 동향

 

  •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높은 국가에서는 중앙은행들이 완화적 통화정책 전환에 신중을 기하고 있으며, 경제 활동, 노동시장 지표, 환율 변동 등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습니다.
  • 일부 중앙은행은 금리를 인상하며 통화정책의 분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2. 금융시장 상황

전 세계 금융 여건은 대체로 완화적이지만, 국가별로 차별화된 모습이 보입니다.

  • 선진국: 미국에서 더 친기업적인 정책이 예상되면서 주식 시장이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 신흥시장 및 개발도상국: 주식 평가액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 미국의 새로운 관세 도입과 금리 상승 기대에 따라 달러 강세가 이어져 금융 여건이 긴축된 상태입니다.

3. 경제정책 불확실성

 

  • 무역 및 재정 분야에서 정책 불확실성이 급격히 증가하였습니다.
    • 2024년 새 정부 출범으로 인한 정책 변화 기대감이 최근 몇 달간 금융시장 가격에 반영되었습니다.
    • 일부 아시아 및 유럽 국가에서 발생한 정치적 불안정은 시장을 흔들고, 재정 및 구조적 정책의 진전이 정체될 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을 가중시켰습니다.
  • 지정학적 긴장: 중동 지역의 갈등을 포함해, 글로벌 무역 마찰과 같은 긴장 상태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보고서는 통화 및 재정 정책의 차별화, 그리고 지정학적 요인이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그림 : 정책의 불확실성

1. 무역 정책 불확실성

2. 재정 정책 불확실성

 

 

 

 

 

 

 

 

 

 

 

 

 

 

▶ 전망

국제통화기금(IMF) 직원의 전망은 발표 시점 기준의 현재 정책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여기에는 최근 시장 동향과 높아진 무역 정책 불확실성의 영향을 반영했으며,

  • 이러한 불확실성은 일시적일 것으로 가정하고 약 1년 후 해소될 것으로 보았습니다.
  • 현재 공론화된 정책 변화에 대해서는 어떠한 가정도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1. 주요 전망

  • 에너지 상품 가격:
    • 2025년 2.6%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2024년 10월 전망보다 더 큰 감소폭입니다.
    • 원유 가격은 중국의 수요 약세와 OPEC+ 외 국가(러시아 포함)의 공급 증가로 하락할 것으로 보입니다.
    • 다만, 가스 가격은 예상보다 추운 날씨와 공급 차질(중동 분쟁, 가스전 가동 중단)로 인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비연료 상품 가격:
    • 2025년 2.5% 상승할 전망이며, 이는 2024년 10월 전망에서 상향 조정된 수치입니다.
    • 이는 주요 생산국의 악천후로 인해 식료품 및 음료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2. 정책 동향

  • 통화정책:
    • 주요 중앙은행의 금리는 계속 하락할 것으로 보이나, 이는 성장 및 물가 상승 전망의 차이에 따라 속도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재정정책:
    • 2025~2026년 동안 선진국(특히 미국)에서 재정 정책 긴축이 예상됩니다.
    • 신흥시장 및 개발도상국에서도 완화적인 긴축 기조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이 보고서는 에너지 및 상품 시장의 변동 요인과 정책 방향성의 차별화를 강조하며, 국가별로 경제 환경에 따라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제언하고 있습니다.

 

World Economic Outlook Update, January 2025: Global Growth: Divergent and Uncertain

 

World Economic Outlook Update, January 2025: Global Growth: Divergent and Uncertain

Global growth is projected at 3.3 percent both in 2025 and 2026, broadly unchanged from the October 2024 World Economic Outlook (WEO) forecast with an upward revision in the United States offsetting downward revisions elsewhere. The near-term outlook is ch

www.imf.org

 

(잘못된 번역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